본문 바로가기

출처 - 동북아역사넷

고구려벽화 - 안악 3호분 소개 안악 3호분 소개 개요 고구려 문화복원의 소중한 유산 - 안악3호분 안악3호분은 북한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하고 있는 고구려 벽화고분으로 1949년에 발굴 조사되었으며, 고국원왕 때인 서기 357년에 만들어졌다. 안악3호분의 벽화는 다양한 화면 구성과 유려한 표현방식으로 당시 고구려의 생활 모습이 매우 잘 표현된 벽화 중 하나로 꼽힌다. 묘주부부 초상을 비롯하여 대규모의 행렬도, 주방장면을 그린 실내 생활도, 씨름 및 가무 장면, 문지기, 그리고 연꽃, 귀면 등의 갖가지 장식 문양들이 풍부하게 어우러져 있으며 무덤 주인공을 고국원 왕으로 보는 입장과 동수로 보는 입장의 오랜 논쟁으로 유명한 무덤이다. 안악3호분 전경 구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랜 모줄임 천장구조 안악3호분은 현무암과 석회암의 큰 판석으.. 더보기
고구려 벽화 - 덕흥리 고분개요 덕흥리 고분개요 개요 1976년에 발굴된 덕흥리 벽화고분은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리에 위차한 408년의 기년명(紀年銘)이 있는 고분이다. 또한 명문(銘文)에 의해 그 피장자(被葬者)가 유주자사 (幽州刺史)를 지낸 진(鎭)이라는 사람이라고 알려져 그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덕흥리고분 외관 구조 덕흥리 벽화고분은 구조면에서 보면 무덤 안으로 들어가는 길인 입구, 앞칸, 그리고 관을 안치하는 널방으로 구성된 이실분(二室墳)이다. 천장구조는 기본적으로 높은 궁륭과 위에 가서 평행고임식으로 끝나는 특이한 형태를 보여준다. 앞칸은 이단(二段) 고임, 널방은 오단(五段) 고임이므로 앞칸의 궁륭 부분에는 천장화를 그릴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덕흥리고분 단면 벽화내용 분묘 안의 벽화를 그 주제별.. 더보기
동북공정 바로알기 - 백두산 정계비의 위치 백두산 정계비의 위치 알아볼까요▶ 백두산정계비는 원래 소백산에 있었다.▶ 백두산정계비는 세워질 때부터 1931년까지 백두산 기슭에 있었다. 중국에서는 를 소백산에서 백두산으로 옮겼다는 ‘정계비 이동설’을 주장하여 국경문제에 새로운 파문을 던지고 있다. ‘정계비 이동설’에 따르면 당시의 기록과 지형, 경계 표지 등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두만강이 시작하는 지류는 홍단수(紅丹水)고 백두산정계비의 원래 위치는 소백산 정상이다. 정계비 건립 직후 조선측 관리들이 정계비를 백두산 남쪽 기슭으로 옮기고 정계비와 토문강 사이에 목책·돌무더기·흙무더기 같은 경계 표지를 설치하여 경계를 조작하였다고 한다. 19세기 이래 국경회담에서 백두산정계비를 기준으로 경계를 정했음을 생각할 때, 이 논리대로라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2..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