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동북아역사넷 썸네일형 리스트형 3∙1운동을 지지한 일본인 요시노 사쿠조 요시노 사쿠조한자 : 吉野作造, 호 : 古川學人, 시호 : 古川學人 저필자김종식(아주대 교수)생몰년생년 : 1878년 1월 29일 ~ 몰년 : 1933년 3월 18일발행일2011년 2월 11일분류정치가, 교육자 3∙1운동을 지지한 일본의 지식인 요시노 사쿠조 다시 3월 1일이 다가오고 있다. 3∙1운동은 우리 민족에게 자주 독립의 자신감을 심어주었고, 동시에 세계에 우리 민족의 독립의지와 역량을 알린 역사적 사건이었다. 3∙1운동은 우리에게 민족적 자긍심과 역사적 교훈을 주고 있지만, 92주년을 맞이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새로운 문제의식과 생각을 던져주고 있다. 3∙1운동은 한국사와 세계사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3∙1운동은 국내적으로는 독립운동의 질적인 변화와 ‘무단통치’에서 기만적이지만 ‘문화정.. 더보기 동북공정 바로알기 - 고구려의 역사는 중국사인가 한국사인가 고구려의 역사는 중국사인가 한국사인가 알아볼까요▶ 고구려 유민 중 중국인이 된 사람이 더 많으므로 고구려는 중국사다.▶ 역사 계승은 사람 수가 아닌, 계승의식과 부흥의지로 평가된다. ‘동북공정’에서는 고구려 유민 중 상당수가 중국으로 들어가 한족에 흡수되었기 때문에 고구려 사는 중국사라고 주장한다. 고구려 유민 중 2만 8천여 호나 되는 사람들은 당에 의해 중국 내지로 강제 이주되었고, 일부는 고구려 옛 땅에 남아 있다가 대조영이 발해를 건국하자 그 아래로 들어갔다. 일부 유민들은 당의 지배를 피해 돌궐로 도망가거나, 일본으로 건너갔다. 신라로 간 사람들도 많았다. 중국에서는 고구려 유민의 1/7만 신라로 내려가 한국인의 선조가 되었고, 그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중국인이 되었으므로 고구려사는 중국사라고 .. 더보기 백제의 왕 근초고왕 근초고왕한자 : 近肖古王, 이명 : 照古王, 肖古王, 餘句, 저필자김기섭(한성백제박물관 전시기획팀장)생몰년 ~ 몰년 : 375년 (음)발행일2011년 1월 25일분류왕 통합의 리더, 근초고왕 요즘 백제 근초고왕이 화제이다. KBS-TV 주말드라마 ‘근초고왕’때문이다. 주인공 부여구(扶餘句)가 갖가지 어려움을 뚫고 왕위에 오른 뒤 사방으로 영토를 넓혀 그야말로 대백제(大百濟)의 대왕으로 우뚝 서는 과정을 50부작으로 그린다는 것인데, 벌써 절반 가까이 방영됐다. 드라마를 본 사람들이 종종 물어온다. 왕후 부여화와 위홍란의 암투가 어떻게 전개되느냐고. 난들 알겠는가? 역사 기록에는 한 줄도 나오지 않는 가상의 인물들 사랑싸움 이야기를... 그저 드라마 작가들이 친 허구의 그물망 속에서 함께 허우적거리며 스토.. 더보기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7 다음